
안녕하세요.
임대를 하고 있던 아파트에서
전세 계약갱신을 했던 임차인이 퇴거하고
긴 공실 끝에 새로운 전세를 계약하게 되었어요.
비록 전세금을 올려 새로 맞추게 되었지만
전세퇴거자금 대출이자와 매월 나가는 관리비로
버티면서 지내는 공실리스크는 경험해보지 않으면
절대 알 수 없을 정도로 힘든 기간이었습니다.
오늘은 온라인 이체를 못해서
현금 수표로 계약금을 가져온 임차인 덕분에
알게된 농협에 대한 정보
공유해보려고 해요.
농협은행(과거 농협중앙회)
1금융권

농협은행은 과거 농협중앙회의
신용사업이 분리되어 설립된 은행으로
KB국민은행, 우리은행 등과 똑같이
1금융권 시중은행으로 은행법의 적용을 받습니다.
오래된 이용객들 사이에서는 그냥 중앙회라, 농협중앙회,
농협중앙은행이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농·축협(단위농협, 지역농협 등)
2금융권

농·축협은 지역마다 개별적으로 있는 협동조합으로
일명 '단위농협' , '지역농협', '농협조합',
'단위조합' 등으로 불리는데요.
현재 농협 측에서는 '농·축협'을 공식용어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서울이나 수도권, 지방의 읍이나 면 소재지에서
해당 지명이나 지역의 이름을 따서
XX농협이라는 간판을 달고 있는
농협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농협은행과 단위농협 구분방법
은행 표기
1금융권의 농협중앙은행과 2금융권의
단위농협과 다른 점은 XX농협에서 뒤에 은행이 없는 것이 단위농협입니다.
집 근처 초역세권 사거리에 농협이 있고
안쪽으로 더 들어간 곳에 또 농협이 있었는데
초역세권은 1금융권이 아니라 알고보니
2금융권의 지역농협이었고
2블럭 안쪽에 있는 농협이 오히려 1금융권이었어요.
계좌번호 상이함
계좌번호로도 쉽게 구분할 수 있는데요.
계좌번호의 2번째, 3번째 자리 숫자가
01,02,12이면 농협은행 계좌이고
51,52,53이면 농축협 계좌입니다.
구분
|
NH농협은행
|
지역농협
|
(구)명칭
|
농협중앙회
|
단위농협
|
금융권
|
제1금융권
|
제2금융권
|
구분
|
은행
|
협동조합
|
보호법
|
예금자보호법
|
상호금융 예금자보호법
|
업무
|
신용사업 업무
|
경제사업 업무
(하나로마트, 주유소 등) |
구분방법
|
농협은행 OO지점
|
OO농협 OO지점
|
대표번호
|
1661-3000
|
1661-2100
|
(구)계좌번호
|
000-01-000000
000-02-000000 |
000-54-0000
000-43-0000 |
(신)계좌번호
|
301-0000
302-0000 |
352-0000
356-0000 |
간판
|
NH농협은행
|
OO농협
|
농협은행과 농축협 상호 업무가 가능한 업무
입·출금
농협은행 ↔ 농축협 계좌간 송금이 가능하며
송금시 수수료가 없습니다.
수표도 농축협 자기앞수표를 농협은행에 입금해도 가능합니다.
원해 타행 수표는 입금하고 다음날 오후 출금이 가능하지만 농협은행과 농축협 간의 자기앞수표는 자행 기준을 적용해서
입금 후 바로 현금으로 찾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기앞수표 입금 수수료 없음
창구에서 수표로 다른은행 이체시 이체수수료 4000원
입출금통장 이월
입출금통장에 한하여 상호 자재를 구비해두고 있기 때문에 농협은행에서 발급한 계좌를 농축협에서 통장 이월로 재발급하거나
반대로 농축협 계좌인데 농협은행에서 이월을 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분실시 재발급 업무는 상호간 업무가 불가능 하기 때문에 통장을 분실했다면 개설한 금융기관으로 가야 합니다.
계좌해지
농축협 계좌를 농협은행에서 해지하거나
농협은행에서 농축협 계좌를 해지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통장 실물이 있어야 합니다.
상호 업무가 불가능한 업무
계좌 개설
대출
신용카드
계좌 개설과 대출,
그리고 신용카드는 상호 업무가 불가능합니다.
이름은 같지만 다른 신용카드사입니다.
그리고 주택청약, 외환, 펀드, 학자금대출 이자납입은
농협은행에서만 가능합니다.
지도에서 농협은행 찾기
네이버지도나 카카오 지도에서 검색하면
농협은행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농협'이라고만 검색하면
1금융권과 2금융권의 농협이 동시에 나와요.

하지만 1금융권의 NH농협은행을 찾으려면
검색어에 '농협은행'을 써야 좀 더 정확하게
1금융권의 농협은행만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오늘은 1금융권의 농협은행과
2금융권의 농·축협, 지역농협의 차이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수표 입금하려고 알아봤던건데
1금융권 2금융권 구분해서 가야하는건지
입금할 때 수수료가 나오는지
입금하고 이체할 때는 수수료가 얼마 나오는지
궁금한점이 많이 있었는데요.
관련 정보 찾으시는 분들에게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도움되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최신 구글 애드센스 신청 방법(승인절차,승인팁,준비사항) (1) | 2025.04.03 |
---|---|
지브리 열풍에 챗GPT유료가입하다.(chatgpt 플러스 구독 할인받는 방법) (1) | 2025.04.02 |
서울 벚꽃 명소 추천! 봄날 걷기 좋은 곳 BEST 7 (1) | 2025.04.02 |
2025년 전국 지역별 벚꽃 개화 시기와 명소 (2) | 2025.04.02 |
국세청 종합소득세 무료 환급서비스 원클릭(대상,신청방법,유의사항) (6) | 2025.04.01 |